학회/학술지

2023년 한국구비문학회 추계 학술대회 발표 안내

  • 학회
  • 국어국문학과 관리자


아울러 2024년 1월의 동계학술대회를 주제를 안내합니다. 동계학술대회 주제는 구비문학 텍스트의 지식체계입니다.

동계학술대회 기획주제를 추계 학술대회 아래에 안내 하오니, 참고하시여 발표를 희망하시는 회원님은 학회 메일로 신청해주시면 감사하겠습니다.

더불어 동계학술대회의 자유주제도 신청을 받고 있습니다.




2024년 1월 한국구비문학회 동계학술대회 기획주제


기획 주제 : 구비문학 텍스트의 지식체계

일시 : 2024년 1월 26일 금요일

장소: 건국대학교 문과대 연구동 401호



구비문학 텍스트는 인간의 기억, 전승 집단 및 전승자의 배경 등에 따라 텍스트를 구성하는 내용이 가변적입니다.

예컨대, 판소리 사설만 하더라도 전승 계보나 창자의 배경지식에 따라 다수 이본이 존재하고, 설화 역시 마찬가지입니다.

구비문학 텍스트는 이런 속성을 본질로 하여 현재까지 전승되어 온 것입니다. 구비문학 텍스트는 상당히 개방적이며, 능동적 가변성을 가지고 있는 현재적 문학인 것입니다.

이런 점에 주목해 보면, 구비문학 텍스트를 구성하는 배경지식이 순전히 구술문화적 문화 요소와 맥락만으로 채워져 있다고 보기는 어렵습니다.

기록물(문학, 역사 등)의 요소, 지배계급의 세계관, 불교나 도교와 같은 고등종교의 요소 및 세계관 등의 배경지식이 개별 텍스트의 내용을 구성하고 있다는 점은 쉽게 확인됩니다.

그런데 이제까지 이런 특징에 대해 구비문학계 및 한국문학계에서는 주로 영향이나 수용이라는 관점에서 다뤄왔습니다.

그러나 이제는 구비문학 각각의 텍스트나 특정 갈래에 속하는 텍스트들이 어떻게 그 배경지식을 구성하고 있는지,

거의 통계학적 수준으로, 그 구성의 지점을 내밀하게 살펴보고 분석해볼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말하자면 구비문학 텍스트는 어떻게 배경 지식을 활용하여 그 내용을 구성하고 있는가의 문제입니다.

각각의 텍스트에는 구술사회에서부터 관습처럼 지켜온 배경지식의 요소들이 들어 있을 수도 있고, 문자사회에 들어와서 마련된 배경지식의 요소들이 들어 있을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런 배경지식의 요소들을 우리는 텍스트를 구성하는 것들로 볼 수 있으며,

그것이 일정한 체계성을 보여준다면 ‘지식체계’라는 관점에서 접근할 수도 있을 것입니다.

이에 두 번의 학술대회를 통해 ‘구비문학 텍스트는 그 배경 지식을 어떻게 구성하여 한 편의 작품으로 나타나는가?’라는 질문의 답을 찾아보려고 합니다.

갈래에 따라서는 비교문학의 관점에서 살펴보는 것도 이 질문의 학문적 의의를 높이는 방법이지 않을까 싶습니다.

회원 여러분의 적극적 발표와 토론을 부탁드립니다.




한국구비문학회: www.koralit.net


주소 :

61204 광주광역시 북구 필문대로 55

광주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최원오 교수 연구실


계좌번호: (우리은행) 1002-362-582841 (예금주: 최원오)
-회비납부, 논문심사비납부, 논문게재료납부


이메일: gubi21@daum.net

-논문투고, 발표신청, 학회관련문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