현대문학

현대문학 전공 소개

현대문학은 세부 전공이 현대시, 현대소설, 희곡, 비평으로 나뉘며, 개화기 이후 등장한 문학과 문학 비평을 시대순으로 고찰하여 한국 근현대 문학의 정신사적 방향을 검토한다. 연대별로 문단을 주도적으로 이끌었던 유파와 사조 그리고 시기별로 문단에 쟁점이 됐던 문학론을 살피는 동시에 문학사에서 문제적 위치를 차지하는 작가의 이념 세계와 작품 세계를 논한다.

각각의 전공에서는 개별 텍스트의 양상을 다양한 방법론으로 정치하게 분석하는 것을 중점으로 삼는데, 작품 해석 능력을 배양하고 작품 분석의 틀을 갖추기 위해 동서양 학계의 조류를 읽어내고 주요 이론을 비판적으로 수용한다. 이 때 비평 이론 자체의 체계적인 이해뿐만 아니라 구체적인 작품 분석을 병행하여 균형 잡힌 연구 시각을 마련코자 한다.

교과목 소개

젠다문학론(G11090)
젠다 문학론의 이론을 설정하여 한국문학에 적용, 분석하여 본다.
한국현대시작품론(G11095)
한국 현대시의 텍스트 양상을 상상력과 원형, 시간과 공간, 감각과 미적 거리 등 다각적인 관점에서 분석적으로 검토한다.
한국현대시문학사(G11111)
한국 현대시의 시사적 맥락과 체계를 역사적 기술 방법 및 문학적 전개에 초점을 맞춰 집중적으로 논의한다.
한국비평문학세미나(G11148)
한국 비평문 중에서 우수한 글을 골라 학생들이 읽고 토론하도록 한다.
현대시의텍스트와이미지(G11153)
한국 현대시를 대상으로 텍스트와 이미지, 문자와 영상 등의 상관관계를 탐색하고 그 미학적 요소 및 효용성을 연구한다.
글로벌시대의한국현대문학사(G11171)
형식주의 비평의 사적 배경을 살피고 다른 이론과의 차이점을 이해한다.
포스트모더니즘과현대문학(G11220)
현대사조로서의 포스트 모더니즘을 검토하여 보고 한국 문학과의 관계를 파악한다.
문학연구의이론과역사(G11223)
비평사의 분야의 과정으로 시대적으로 문학 연구의 배경이 된 이론사를 배움으로써 문학 사조와 연구 방법의 변천을 정리하게 된다. 한국의 비평사와 관련된 서구의 이론사도 함께 다루어질 것이다.
한국비평문학사(G11373)
한국 비평문학의 흐름을 점검하여 보고, 남북한 비평문학의 동질성과 이질성의 차이를 문학 내적인 질서로서 규명하는 작업을 한다.
한국현대시인유형론(G11417)
한국 현대시의 흐름을 현대시의 표현형식, 지향의식, 시대정신 등에 초점을 맞춰 시인별로 유형화시켜 연구한다.
현대작품의실제분석(G11430)
현대 문학 작가들의 작품을 대상으로 구체적인 분석을 중심으로 연구, 토의한다.
한국현대시론사(G11481)
한국 현대 시인들의 대표 시론을 세계관, 문학관, 언어관 등을 중심으로 새롭게 분석하고 해명한다.
한국문학과공간이론(G11483)
한국 문학 작품을 공간의 기호론적 접근을 통해서 분석, 검증한다.
문화사와문학론연구(G16169)
한국현대문학이 놓인 사회사와 문화사의 다양한 양상을 고찰하고, 문학이론과의 접목을 모색함으로써, 문학의 사회 참여와 미학적 성취의 연관성에 관하여 연구한다.
연극의문학성과공연성(G17253)
희곡 중심의 문학적 연구와, 상연 중심의 공연적 연구를 아우르며, 연극에 대해 입체적으로 조명한다.
현대이론과연극(G17254)
이 수업은, 인문학 분야에서 공통적인 관심의 대상이 되고 있는 다양한 현대 이론들을, 연극의 이해와 분석에 적용한다.
드라마의이론과실제(G17255)
연극에서 방송극까지, 드라마 범주에 속하는 작품들을 이해하기 위해, 관련된 이론을 검토하고 그 창작의 실상을 고찰한다.
한국희곡의비교연구(G17256)
이 수업은, 세계 희곡사와 공연사의 맥락 속에서 상호문화적 관점으로 한국 희곡에 대한 비교 연구를 행한다.
퍼포먼스의이해와적용(G17257)
최근 연극 이론의 키워드인 퍼포먼스를 중심으로, 그 이론의 다양한 적용 가능성을 탐색한다.
극예술의연구와분석(G17258)
드라마, 연극, 영화, 희곡 등 극예술의 다양한 종류들에 대해 그 역사와 이론을 연구하고 구체적인 작품을 분석한다.
현대시와모더니티(G17468)
20세기 현대시의 이론 및 그 정체성을 추적하여 한국 현대시의 모더니티를 총체적으로 검토한다.
현대시의수사학(G17469)
현대시에 작용하는 제반 수사학의 이론적인 배경과 그 구조적 양상을 고찰하여 한국 현대시에 적용하고 분석한다.
21세기시학과문화이론(G17470)
21세기 시학과 그 인접 문화이론을 발굴하여 한국 현대시 연구의 새로운 관점과 해석 가능성을 모색한다.
한국현대소설과서사학(G17367)
소설 장르의 핵심은 서사이다. 서사를 이해하기 위한 이론이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이유도 소설이라는 장르 자체가 살아 움직이는 텍스트이기 때문이다. 이런 소설 장르의 이해를 위해 이야기, 사건, 플롯 등 소설 구성 요소를 서사학적 측면에서 재검토한다.
한국현대소설과텍스트이론(G17639)
시학 혹은 미학의 측면에서 텍스트를 분석하는 것은 이론과 작품을 연결시키는 중요한 방법론이다. 보다 광의의 개념으로 텍스트를 설정한 후 한국현대소설 속의 감정, 언어, 문체, 시점 등을 구체적으로 분석해본다.
한국현대소설과문학사의경계(G17641)
작가나 작품을 연구하는 궁극적 목표는 문학사의 서술이다. 또한 어느 한 시기 혹은 세대의 문학 담론은 문학사 서술의 토대가 된다. 한국현대소설사 서술을 위한 토대로서 특정 작가나 시기의 담론을 집중 조명해본다.
한국현대소설과인문학(G17642)
문학은 철학이나 역사 등 인문학과의 융합적 측면에서 연구할 때 총체적 의미를 드러낸다. 21세기 한국현대소설의 위상 또한 인문학과의 소통과 교섭 속에서 더욱 분명해질 수 있다. 이를 위해 한국소설과 인문학의 접목을 시도해본다.
한국여성소설과사회(G17643)
문학의 존재이유는 현실에 대한 비판과 개선이다. 여성소설의 목적은 여성이 처한 현실을 다시 보고 비판적 수정을 도모하는 것이다. 한국현대여성소설을 문학사회학적 측면에서 접근함으로써 변화된 사회 현실을 함께 조망해보는 것이 필요하다.
한국현대소설과문화읽기(G17644)
21세기 문학 담론은 문화적 요소를 적극 반영하고 있기에 문학과 문화를 상호텍스트적인 측면에서 연구할 때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다. 소설의 생산 배경으로서의 당대 문화를 문학적 측면에서 고찰해본다.
한국현대소설가와시대연구(G17645)
소설가는 모두 자신의 시대를 반영한다. 그리고 시대를 연구하면 작가의 삶과 작품을 이해할 수 있다. 시대를 보는 창의 역할을 하는 것이 소설가의 임무이기 때문이기도 하다. 이를 위해 소설가와 시대의 관련성을 구체적인 작가와 작품을 통해 체계적으로 분석해본다.
한국현대소설과스토리텔링(G17646)
스토리는 21세기 문화 자본의 핵심이다. 문학을 포함한 모든 문화에서 스토리텔링적 요소를 요구하는 이유 또한 스토리가 의미이자 가치로 평가받기 때문이다. 한국현대소설의 대중성을 스토리텔링의 측면에서 분석해본다.
한국현대소설의인간학(G17647)
모든 문학은 인간을 이해하기 위한 장치이다. 한국현대소설 속 인물을 신화, 정치, 사회, 미학 등의 측면에서 종합적으로 고찰해봄으로써 인간이 지닌 세대별, 계층별, 국가별 보편성과 특수성을 비교해본다.